간척역사
홈 > > >
|
01. 간척역사/갯벌생성(History of tidal land reclamation / New formation of tidal flat)
간척은 새로운 토지창출과 우량농지 조성, 수자원 확보과 재해예방, 교통개선과 지역산업발전, 관광휴양 및 자연확보 공간 제공 등 21C 경쟁력있는 농업과 지역경제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.
간척역사
| 13C | 강화연안 제방 축조, 평남 위도 |
|---|---|
| 17 ~ 18C | 강화도 연안 |
| 1910 ~ 1960 | 태안, 부안, 진도 연안 |
| 1970 | 금강, 평택 대단위 농업개발 |
| 1976 | 삼교, 영산, 대호, 김포, 시화, 서산 |
| 1991 ~ | 화옹, 새만금, 고흥연안 |
간척현황
| 간척대상면적 | 준공 | 시행중 | 예정일 |
|---|---|---|---|
| 156,835ha | 75,907ha | 59,854ha | 21,074ha |
방조제축조지구 갯벌생성 사례
| 구분 | 간척면적(ha) | 퇴적속도(cm/년) | 갯벌생성면적(ha) | 생성기간(년) |
|---|---|---|---|---|
| 서산 AB | 15,593 | 5,6 | 3,442 | 9 ~ 10 |
| 아산,삽교천 | 11,491 | 7,0 | 1,672 | 14 ~ 19 |
| 손불 | 422 | 4,0 | 352 | 65 |
| 해남 | 3,032 | 2,0 | 565 | 5 |
| 관산 | 675 | 0,7 | 2,592 | 73 |
| 보성 | 2,085 | 0,7 | 1,494 | 54 |
02. 새만금 친환경 개발(Enviromentaily friendly development for the seamangeum)
친환경순차개발
- 방조제를 우선 완공하되, 수지문제가 없는 동진수역을 먼저 개발하고 만경수역은 수질기준이 확보된 후 개발
- 친환경농업실현, 생태마을 조성, 인공습지, 저류지, 철새도래지 등 수서생물과 야생동물의 공간을 제공하는 등 세계적인 친환경지구로 조성
수질개선대책
- 호소상류 동진강, 만경강 유역 수질개선
- 호소 유입부 및 내부수질개선
- 내부간척지 내 주거지 하수처리
- 수질 및 해양환경변화에 대한 모니터링
| 사업구역 | 서해안 중앙부 (전라북도 군산시, 김제시, 부안군 일원) |
|---|---|
| 사업기간 | 1991 ~ 2020년 총30년 |
| 방조제연장 | 총길이 33.9km, 저폭 290m(최대535m), 높이 36m(최대 54m) - 세계 최장의 방조제 |
| 개발면적 | 401㎢ |
03. 환경친화적 간척(Eco-Friendly tideland reclamation)
간척은 새로운 토지창출과 우량농지 조성, 수자원 확보과 재해예방, 교통개선과 지역산업발전, 관광휴양 및 자연확보 공간 제공 등 21C 경쟁력있는 농업과 지역경제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
주요내용
- 상류하천과 담수호 내부수질대책 병행추진
- 담수호의 부영양화 방지 및 수질유지를 위한 환경기초시설 설치확대
- 다양한 친환경농업을 활용하는 대규모 환경농업단지 조성
- 미래세대를 위한 환경보전과 개발병행














